우리문학회 133차 동계 국제학술대회

- 한국문학과 아시아 -

-韓國文化與亞洲國際學術大會-

일시 : 2024년 1월 24일(수)

장소 : 國立高雄大學 人文社會科學院

주최 : 우리문학회·용인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·國立高雄大學 亞太語言文化研究中心(APLAC)

주관 : 우리문학회

대 주제 : 한국문학과 아시아

시간

발표내용

발표자

사회자

09:00-

09:10

개회

개회사: 安永勳(慶熙大, 學會長) /

축사: 王清棟(國立高雄大 동아시아어문학과)

권기성(창원대)

09:10-

기조발표(H2-108) : 한자 문화권에 있어서의

岡山善一郞(日本 天理大学)

09:40

古典童謠의 원리와 해석방법에 대해서

Session 1 (H2-108) : 문화융합시대 문학과 문화 교류

09:40-

10:00

『대만동화집』(일본어,1927)을 통해 보는 대만 향토성 연구

권혁래(용인대)

권기성(창원대)

10:00-

10:20

한국문학과 한류

안영훈(경희대)

10:20-

10:40

공익 광고를 활용한 해외 한국어문학 전공 학습자의 다중문식성 교육 방안 연구

이하나(대만중국문화대)

10:40-

11:00

결혼이주여성을 위한 한국 문화교육 방안 연구

-신화 속 여성 주체의 서사를 중심으로-

강명주(중앙대)

11:00-

11:20

휴식시간

11:20-

11:40

생성형 AI를 활용한 한문교육 방안-네이버 하이파클로바X를 중심으로

심호남(중앙대)

11:40-

12:00

<만복사저포기>에 나타난 일생 주기와 삶의 태도

전성운(순천향대)

12:20-

12:40

창랑 성문준의 시문 교유 양상 연구

양훈식(남서울대)

12:40-

13:00

보조국사 지눌의 종밀 사상의 수용과 발전적 계승 -『법집별행록절요병입사기』를 중심으로

이병욱(고려대)

13:00-

13:30

종합토론(패널 및 참가자 전원)

Session 2 (H2-103) : 아시아 역사 현실과 K-여성문학

20세기 초반 아시아의 전쟁과 평화를

09:40-

10:00

재구하는 문학적 상상력의 현재적

수준-김훈의 하얼빈과 방현석의 범도를

오태호(경희대)

중심으로

10:00-

탈냉전기 이호철의 '동북아 평화공생'을 위한

윤재민(원광대)

10:20

문학과 실천- <한살림 통일론>을 중심으로

10:20-

동아시아의 상흔들 : 한국문학에 나타난

임정연(안양대)

10:40

오키나와의 장소성을 중심으로

10:40-

역사소설의 환유와 식민지성의 문제

강유진(중앙대)

11:00

–손창섭의 <봉술랑> 연구

11:00-

휴식시간

11:20

주지영(경희대)

11:20-

황석영의 심청에 형상화된 이주여성의 연대

전훈지(고려대)

11:40

11:40-

12:00

코리언 아메리칸 여성의 글쓰기와

포스트메모리 – 그레이스 M. 조의 『전쟁 같은

맛』

김은하(경희대)

12:20-

아시아권에서 문학/문화번역으로서의

김양선(한림대)

12:40

K-여성문학

12:40-

1960년대 『학원』의 과학소설과 일본의

이선옥(숙명여대)

13:00

『S-Fマガジン』

13:00-

종합토론(패널 및 참가자 전원)

13:30

Session 3 (H2-106) : 아시아 문학과 문화 융합

09:40-

10:00

21세기 케이팝의 지형과

청년문화운동으로서의 가능성

이혜진(세명대)

박혜영(항공대)

10:00-

10:20

한국학과 문화 정체성 연구

권미란(카이스트)

10:20-

10:40

2000년대 이후 동아시아 추리소설에 나타난

‘공포’ 감정 연구

이은선(한신대)

10:40-

11:00

접경의 중첩: 어학당 소재 소설에 나타난

노동의 정동

김나현(용인대)

11:00-

11:20

휴식시간

11:20-

11:40

죽음의 서사 : 민담의 서사와 그 결말

김남석(부경대)

11:40-

12:00

한국문학과 김남조 – 시인과의 마지막

인터뷰를 중심으로

방승호(충남대)

12:20-

12:40

귀도 비탈레(Guido Vitale)의 『 재미있는 중국

이야기(Chinese merry tales) 』 (1901) 고찰

구현아(용인대)

12:40-

13:00

최치원 ‘동인의식’ 실질에 대한 논의

진영(중국 양주대)

13:00-

13:30

종합토론(패널 및 참가자 전원)